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부귀란(신상품)
  • 석곡
  • 자재

현재 위치
  1. 게시판
  2. 뉴스/이벤트

뉴스/이벤트

게시판 상세
subject 20년전 섬 뒤덮은 난의 향기, 이젠 어디서…
name 김옥성 (ip:59.27.68.217)
  • date 2010-12-02 13:23:16
  • recom 추천하기
  • hit 1324
point 0점
20년전 섬 뒤덮은 난의 향기, 이젠 어디서…
[동아일보] 2010년 12월 01일(수) 오전 03:00 

[동아일보]
《전남 완도를 중심으로 청산도, 보길도 등 399개 섬으로 이뤄진 다도해(多島海)해상국립공원. 이곳 주민들과 일대를 관리하는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사무소 관계자들은 최근 사라진 ‘난’ 찾기에 몰두하고 있다. 식물학자들에 따르면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풍란, 지네발난, 대흥란 등 다양한 난이 다도해 섬 곳곳에 자생했다. 하지만 이 일대에 좋은 자연산 난이 많다는 소문이 전국에 퍼지면서 외부인들이 몰려 무분별하게 남획했다. 현재 이들 난은 멸종위기종에 속한다. 다도해국립공원 사무소는 주민들과 연계해 무인도 등 일대의 섬을 탐사하며 난을 보호하는 한편 발견되지 않은 난의 원종(原種)을 찾고 있다. 지난달 23일 다도해 ‘난 탐사작업’에 동행했다.》


■ ‘난의 보금자리’ 다도해 탐사 동행

○ 20년 전 사라진 ‘풍란’을 찾아라

이날 오전 11시 15분. 기자는 완도읍 완도군청 인근 야산에 설치된 헬기장에서 탐사대원들과 함께 순찰용 헬기에 탑승했다. 헬기는 1분여 만에 고도 700m까지 올라간 후 시속 180km로 완도를 시작으로 횡간도, 노화도, 보길도, 당사도, 불근도, 여서도, 청산도 등을 차례로 돌기 시작했다. 섬이 나타날 때마다 탐사대원들이 헬기 옆쪽의 문을 열고 망원카메라로 일대를 관찰했다. 외부인의 불법채집을 막고 난이 있을 만한 장소를 물색하기 위해서다. 탐사대원들은 “멸종위기식물 총 64종 가운데 남해안에 사는 식물이 20종으로 이 중 45%(9종)가 다도해에 산다”며 “요즘은 ‘풍란’을 찾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풍란은 노끈 모양의 굵은 뿌리와 짧은 줄기, 5∼10cm의 잎을 가진 난이다. 전국 40여 곳에서만 자생해 멸종위기 1급으로 지정됐다.

대원들과 함께 무인도 한 귀퉁이에 배가 정박됐는지를 유심히 살폈다. 정체 모를 배가 섬에 정박할 경우 비행 중 체크한다. 해당 선박이 완도 나루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대기하다가 배가 도착하면 무단 반출되는 난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헬기 순찰이 없는 날에는 섬 주민들의 신고를 받는다. 이날 약 47분간 비행순찰을 하는 동안 섬에 정박한 배는 찾을 수 없었다.

○ 가시에 찔리고 넘어지고…

기자는 헬기에서 내린 후 40분가량 배를 타고 청산도로 향했다. 이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원보전과 오창영 주임(35)과 함께 2시간 반가량 청산도 내 산속을 누비며 풍란을 찾아 나섰다. 면적 33.3km²(약 1007만3250평)인 청산도를 무작정 돌아다녀서는 난을 찾을 수 없다. 일단 수색 범위를 좁혀야 한다. 식물 관련 논문 등 문헌조사를 통해 과거 청산도에서 난이 많았던 곳을 파악한다. 이후 지역주민들의 얘기를 듣고 난이 있을 만한 장소를 선정해 조사에 들어간다. 다도해 각 섬에는 주민들로 구성된 ‘섬 지킴이’가 도우미 활동을 하고 있다.

오후 3시경 해발 300m의 범바위 지대에 도착했다. 난은 주로 해안가와 이어진 산의 7, 8분 능선 일대 중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암벽 사이에 자생한다. 천천히 밑으로 이동했다. 경사가 가파르고 바닥에 낙엽이 쌓여 발을 헛디디기 일쑤였다. 동행한 청산도 주민 이기정 씨(60)는 “각반과 로프, 자일을 준비해 2인 1조로 움직여야 안전하다”며 “특히 이곳은 ‘까치독사’가 많다”고 설명했다. 뭔가 다리를 건드리며 훅 지나가는 느낌이 들어 불안했다. 24m가량 내려간 후 절벽 바위 틈새에서 ‘지네발난’을 찾았다. 지네발난은 멸종위기 2급 식물. 이름 그대로 긴 줄기에 지네발처럼 잎이 자란 난이다.

갑자기 휴대전화가 울렸다. ‘풍란을 봤다’는 주민 제보가 들어온 것. 일행은 곧바로 청산도 진산리 내 야산으로 이동했다. 길이 없는 산속을 헤집고 나가다 보니 가시에 수차례 찔려 다리 곳곳에서 피가 났다. 20분간 산속을 헤맨 후에야 바위틈에서 자라고 있는 길이 3cm가량의 작은 풍란을 찾을 수 있었다. 모두 보물을 찾은 듯 기뻐했다. 이 씨는 “예전에는 풍란에서 예쁜 꽃이 많이 피었는데, 이제는 산삼보다 찾기 어렵다”고 전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현재까지 다도해 지역에서 풍란 6개체, 지네발난 24개체, 대흥란 56개체 등 멸종위기 난 총 86개체가 발견됐다. 강낙성 다도해국립공원 사무소장은 “멸종위기종 식물원을 세운 후 이곳에 옮겨 난을 증식할 계획”이라며 “다도해 섬들에 예전처럼 난꽃이 많이 피면 좋겠다”고 말했다.

완도=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file
password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관리자게시 게시안함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

수정 취소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댓글 입력

댓글달기이름 :비밀번호 : 관리자답변보기

확인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