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부귀란(신상품)
  • 석곡
  • 자재

현재 위치
  1. 게시판
  2. 자료실

자료실

게시판 상세
subject 설왕설래 풍란
name 김옥성 (ip:)
  • date 2015-11-23 11:29:47
  • recom 추천하기
  • hit 847
point 0점

 

[설왕설래] 풍란

 

난초는 색이 화려하지 않고 크기도 작지만, 청초한 아름다움과 그윽한 꽃향기로 뭇사람들에게 사랑받는다. 중국 당나라 시인 이백은 “풀이 되려거든 난초가 되라”고 했다. ‘주역’에서는 “마음을 합한 사람끼리의 말은 그 향기로움이 난초와 같다(同心之言 其臭如蘭)”고 했다. 금란지교(金蘭之交)라는 말이 여기에서 나왔다. 난초가 매화, 국화, 대나무와 함께 사군자 반열에 오른 이유다.

우리나라 문인들은 난초 가운데 풍란(風蘭)을 귀하게 여겼다. 남해안 일대와 제주도의 바닷가 바위나 나무줄기에 붙어 자라는 풍란은 한여름에 흰색 꽃이 피는데, 꽃뿔 부분이 새 꼬리처럼 뻗어난다고 해서 ‘꼬리난초’라고도 한다. 이슬 먹고 자라는 것이어서 애착이 크지 않았을까.

“잎이 빳빳하고도 오히려 영롱하다/ 썩은 향나무 껍질에 옥 같은 뿌리를 서려 두고/ 청량한 물줄기를 머금고 바람으로 사노니.” 노산 이은상의 시조 ‘풍란’의 한 구절이다. 가람 이병기는 ‘풍란’이라는 글에서 “난초의 푸른 잎을 보고 방열(芳烈)한 향을 맡을 순간엔 문득 환희의 별유세계(別有世界)에 들어 무아·무상의 경지에 도달하기도 한다”고 했다. 위당 정인보는 만해 한용운 추모시에서 “풍란화 매운 향내 당신에 견줄 쏜가. 이날에 님 계시면 별도 아니 빛날까”라고 했다. 일제와 타협하지 않고 고난의 길을 택한 만해의 기상을 매운 향내에 비유한 것이다.

지리산에는 풍란에 관한 전설이 남아 있다. 천신의 딸 마고할미가 남편 반야도사를 기다리다 지쳐 그를 그리며 만든 나무껍질 옷을 갈기갈기 찢어버린 뒤 숨을 거두었는데, 찢긴 옷이 반야봉으로 날아가 풍란이 되었다는 것이다.

풍란은 이처럼 이야깃거리가 많지만, 과도한 관심 탓에 멸종 위기에 처했다. 원예용으로 인기를 끌면서 대부분 채취됐고 1989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됐다. 2013년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섬 절벽에서 대규모 풍란 자생지를 발견한 국립공원관리공단이 풍란 종자 증식작업에 나서 최근 풍란 500개체를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무인도에 옮겨심었다. 앞으로 풍란 2500개체를 한려해상·다도해해상 국립공원 곳곳에 복원할 계획이다. 2∼3년 후 스스로 증식을 해 개체수를 늘리면 식물복원 사업은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풍란이 널리 퍼져서 많은 이들에게 청아한 꽃향기를 전해주기를 바란다.

박완규 논설위원
file
password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관리자게시 게시안함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
  • 이병우 2017-08-15 10:33:31 0점
    수정 삭제 댓글
    스팸글 왠지 조선시대 선비들이 정치풍파에 밀려 남쪽 해안과 가까운 귀향처에서 풍란을 보고 감상에 젖어 시조를 읊으면 위와같지 않았을까요 ^^

스팸신고 스팸해제

댓글 수정

비밀번호 :

수정 취소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댓글 입력

댓글달기이름 :비밀번호 : 관리자답변보기

확인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